RSS를 활용해서 블로그의 글을 읽는 사람이 많습니다. 그런데 자신의 블로그에 몇명의 RSS 구독자를 확인하는 방법이 어렵습니다. 한RSS의 경우는 RSS 구독자 수 위젯을 제공하고 있지만, RSS 구독기는 많기 때문에 정확한 RSS 구독자 수를 확인하는 것은 불가능 합니다. 이런 불편함을 피드버너를 사용하면 비교적 정확한 RSS 구독자 현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2차 도메인으로 확장을 하게 되면 RSS 주소가 새로 생성하게 되어 기존의 RSS주소로는 접근이 불가능하게 됩니다. 그래서 RSS 구독자의 손실을 가져오지만 피드버너를 이용하면 도메인을 바꾸어도 RSS 주소는 변경되지 않습니다.
피드버너 RSS 주소 ☞http://feeds2.feedburner.com/pangsan
3. 이메일 구독이 가능하다.
이메일 구독을 원하시면 신청하세요!
많은 블로그를 방문하다 보면 저런 문구를 보셨을 것 입니다. RSS 는 블로그에 직접 접속하지 않고 블로그의 글을 읽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런데 RSS에 대해서 모르는 분, RSS가 불편한 분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블로그 글을 이메일로 발송하는 서비스입니다.
JAR 파일을 더블클릭해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지만, JRE(자바런타임) 환경이 구축되어 있지 않다면 실행이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JAR 파일을 EXE 파일로 바꾸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GUI 프로그램의 경우 JAR 파일 생성후 JAR 파일을 윈도우 실행 파일 EXE 파일로 Wrapping 하는 단계를 거처야 합니다.
2. exe 파일 만들기
JSmooth
사이트로 이동하여 JSmooth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JSmooth 을 실행합니다.
Skeleton(1) 을 선택하고 Skeleton Selection(2) 목록에서 실행이 되는 프로그램을 선택합니다. Console Wrapper : 콘솔 프로그램 Windowed Wrapper : GUI 프로그램( Swing, SWT, AWT 등 )
Executable(1) 을 선택하고 실행파일에 대한 정보를 입력합니다.
Executable Binary(2) 은 생성할 실행파일 저장위치와 실행파일명을 입력합니다.
Executable Icon(3) 은 생성할 실행파일의 아이콘으로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하면 됩니다. Current Directory 은 설정 안하셔도 됩니다.
Application(1) 을 선택하여 JAR 파일의 설정을 합니다.
Embedded jar(2) 는 EXE 파일로 만들기 위해 필요한 JAR 파일을 지정합니다. (JAR → EXE)
Main class(3) 은 JAR 파일의 메인 클레스를 지정해 주어야합니다. JAR 파일안에 여러개의 클래스가 존재하여 메인클래스를 지정해주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JVM Selection(1) 선택하고 JVM 정보를 입력합니다.
Minimum JVM version(2) 은 자신이 사용한 JVM 버전을 설정해 줍니다. 이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최소의 JVM 버전입니다. JVM Search Sequence 목록은 자바 가상머신을 찾는 순서를 정하는 것입니다. Windows Registry 부터 Windows JView 까지 순서대로 찾습니다.
JVM Config(1) 는 라이브러리를 추가해서 사용할때 설정하는 부분(3) 과 JVM 이 사용할 메모리 크기를 설정(2) 하는 부분입니다. 필요하실때만 설정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이제 실행파일 만들기 위한 설정이 끝났습니다. JSmooth 상단의 아이콘에서 톱니바퀴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해서 실행파일로 만들 수 있습니다. Project → Compile 으로 하셔도 됩니다.
Compile 을 하시면 JSmooth 에서 설정한 정보를 저장하고 왼쪽의 그림처럼 EXE 파일이 생성됩니다.
MissFlash님의 포스팅을 보고 제대로 동작한다면 이제 응용만 하면 됩니다. 테이블을 만들어 행과 열을 구성하고 그안에 해당된 소스 코드만 삽입하면 작업이 완료됩니다.
만약 테이블을 만들지 않고 추천 위젯과 카테고리 글 더보기 를 배치할 경우 생각했던 위치에 만들어지지 않고 엉망진창이 되어서 테이블 안에 소스 코드를 삽입하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테이블 하나를 이용해서 만들 수도 있지만, 저는 테이블 2개를 이용해서 UI 를 구성하였습니다.
클래스 파일의 효율적인 배포를 위해 여러 클래스 파일들을 하나로 묶어 단일의 파일로 만드는 포멧. 로컬(local)상에서 편리한 관리는 물론 자바(Java) 프로그램 실행 중에 원격지에서 하이퍼텍스트 전송 규약(HTTP) 등을 통해 내려받기(download)되어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네이버 용어사전-
JAR 생성 방법
1. 일반 파일
Sample1.java, Sample2.java, Sample3.java 클래스 파일을 만들었습니다.
File(1) → Export(2) 선택하면 Export 창이 나옵니다.
JAR File(3) 을 선택하고 Next(4) 클릭한다.
Browse(1) 을 클릭하여 jar 파일을 저장할 장소를 선택하고 Next(2) 을 클릭합니다.
Next 을 클릭한다.
클래스 파일 1개를 jar 파일로 만드는 작업은 FInish 를 클릭하면 되지만 여러개의 클래스 파일을 jar 파일로 만들기 위해서는 Main class 를 지정해줘야 합니다. Main class 를 지정하지 않으면 Sample1, Sample2, Sample3 의 클래스 파일 중 어느 파일이 Main class 인지 알 수가 없어서 jar 파일 실행시 에러를 발생합니다.
2. 패키지 파일
Sample1, Sample2, Sample3 클래스 파일을 Pack 패키지로 묶어서 jar 파일을 생성하였습니다. 이클립스에서는 일반파일의 jar 파일 생성 방법과 동일합니다.
일반 클래스 파일과 패키지 클래스 파일 을 각각 Sample.jar 과 Sample_pack.jar 로 만들고 jar 파일을 압축을 해제한 후 비교를 했습니다.
1. 클래스 파일 위치가 다르다.
일반 클래스 파일로 만든 jar 파일 안에는 클래스 파일이 바로 존재하지만, 패키지 클래스 파일로 만든 jar 파일 안에는 Pack 디렉토리(패키지) 안에 클래스 파일이 존재합니다.
2. MANIFEST.MF 파일의 Main-Class 가 다르다.
일반 클래스 파일로 만든 jar 파일의 Main-Class 는 클래스명을 사용하지만, 패키지 클래스 파일로 만든 jar 파일의 Main-Class 는 패키지명.클래스명 을 사용합니다.
JAR 실행 방법
Browse 을 클릭하여 Main class 를 선택하고 Finish 를 클릭하면 Sample.jar 파일이 생성됩니다.
jar 파일은 더블클릭으로 실행하거나 java -jar 파일.jar 명령어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